
현재 강직성척추염 치료중.
2개월마다 1회씩 주사치료.
처음에 온몸이 칼로 쑤시다 못해 긁는 통증 생김.
아침에 움직이지도 못할 통증과 고통.
갑자기 왼쪽발이 검붉으스러워 지고 퉁퉁 붓기 시작.
병원가서 검사하니 염증수치가 일반인의 40배.
0.5가 정상인데 40나옴.
동네 돌팔이들 뭔지 모름.
이상한 스테로이드 진통제만 냅다 주사 주고, 약줌.
그렇게 수개월 흐르니 통증강도가 잠을 아예 못잘정도로 심해짐.
그러다 수원 이춘택병원에서 강직성척추염 진단.
이분 아니었음 병명이 뭔지도 몰랐을거임.
주변사람들에게 수소문 해보니 강직성척추염 국내 1등 의사가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음.
안양에 위치한 한림대해교 성심병원 김현아 교수님이 원탑이라고 들어서 바로 예약.
그때가 피검사상 염증수치 30배정도에 잘 걷지도 못했음.
김현아 교수님께 치료시작.
폐결핵 검사하고 이상 없어서 주사치료 시작.
주사맞고 한달지나니 통증이 많이 줄어들었음.
현재 거의 2년차 치료중인데 일상생활에 문제 없을정도로 많이 좋아짐.
궁금해서 주사실에 2년차되서 물어봄.
"주사 이름이 뭐에요??"
그걸 이제 물어보세요??
황당하셨나봄ㅋㅋ
아래 주사 이름과 효과, 부작용에 대해 상세히 적어 놓음.
레미케이드(Infliximab) – 생물학적 제제 주사(강적성 척추염 치료)
레미케이드(Infliximab)는 생물학적 제제(Biologic Agent) 로 분류되는 TNF-α 억제제이다.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며, 염증을 유발하는 특정 단백질을 차단하여 증상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
1. 생물학적 제제란?
생물학적 제제는 생체 유래 단백질을 이용하여 만든 치료제로, 화학적으로 합성된 일반 의약품과는 다른 방식으로 작용한다.
① 주요 특징
살아있는 세포에서 생산된 단백질 기반 치료제
면역계를 표적으로 작용하여 특정 염증 단백질(TNF-α 등) 차단
자가면역 질환 및 특정 암 치료에 사용됨
② 생물학적 제제 vs 기존 약물(합성의약품) 비교
---
2. 레미케이드의 작용 원리
레미케이드는 TNF-α(종양 괴사 인자, Tumor Necrosis Factor-alpha) 라는 염증성 단백질을 차단하여 자가면역 질환의 염증 반응을 억제한다.
① 주요 적응증(사용 질환)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관절염
크론병 및 궤양성 대장염
건선 및 건선성 관절염
베체트병
② 기대 효과
✅ 관절 및 척추 염증 감소 → 통증 완화, 강직 개선
✅ 장 점막 염증 완화 → 크론병 및 궤양성 대장염 증상 개선
✅ 피부 염증 억제 → 건선 증상 완화
✅ 자가면역 반응 억제 → 면역 과민 반응 조절
---
3. 레미케이드의 부작용
레미케이드는 면역계를 조절하는 강력한 효과를 가지고 있어, 면역 억제에 따른 감염 위험 증가 및 기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① 즉각적인 부작용 (주사 후 발생 가능)
발열, 오한
두통, 어지러움
가려움, 피부 발진
혈압 저하(어지러움, 기절 가능)
가슴 답답함, 호흡 곤란 (심한 경우 응급 상황)
---
② 감염 위험 증가
레미케이드는 면역을 억제하여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감염 위험을 높일 수 있다.
폐렴, 결핵, 대상포진 발생 가능
감기 및 기타 감염이 자주 발생할 수 있음
➡ 해결책:
✔ 주사 전 결핵 검사(TB 검사) 필수
✔ 감염 증상 발생 시 즉시 병원 방문
---
③ 심장 및 폐 부작용
심부전 악화 가능성 → 숨이 차고 다리가 붓는 증상 주의
폐 감염(폐렴, 결핵) 위험 증가
드물지만 폐섬유화 발생 가능
➡ 해결책:
✔ 숨이 차거나 가슴 답답한 증상이 있으면 심장 및 폐 검사 필요
---
④ 신경계 부작용
손발 저림, 근육 약화
어지러움, 시력 저하
다발성 경화증(MS) 유사 증상 가능
➡ 해결책:
✔ 이상 증상 발생 시 신경과 진료 필요
---
⑤ 장기적인 부작용 (2년 이상 투여 시 주의점)
항체 생성 → 약 효과 감소 가능
간 수치 상승 → 간 손상 위험 증가
림프종 등 특정 암 발생 위험 증가 가능성
➡ 해결책:
✔ 정기적인 혈액 검사 및 효과 모니터링 필수
---
4. 레미케이드 투여 시 주의사항
✅ 정기적인 감염 검사 필수 (결핵, 간염 검사 등)
✅ 심장 및 폐 건강 모니터링 (호흡 곤란, 부종 발생 시 검사 필요)
✅ 간 기능 검사 주기적으로 시행
✅ 주사 후 알레르기 반응 발생 여부 관찰
📌 결론
레미케이드는 TNF-α 억제제 계열의 생물학적 제제로, 기존의 진통제나 스테로이드와 다르게 자가면역 질환의 원인을 직접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면역 억제 효과로 인해 감염 위험 증가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